딥러닝을 배우면서, 알게되는 Stanford university의 위대함! 비록 최신 강좌는 아니지만, 지금 보는데 아무런 불편함이 없고 기본 개념을 익히기에 충분히 아주 좋은 강좌를 유튜브에 무료로 제공하는 학교이다. 나 같은 경우도, Andrew Ng(앤드류 응) 교수님에 대해 알게되면서 Stanford의 CS코스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그렇기에, 딥러닝을 더 먼저 배우고 싶은 분들은, 앤드류 응 교수님 강좌를 적극 추천한다. 영어로 되어있는게 문제라면, 앤드류 응 교수님 강좌는 네이버 부스트코스에서 한글 자막을 제공하고 있으니 참고하면 좋겠다. (단, 4단계까지만 자막을 제공하는데 유튜브로 확인해보면 이후 강좌들도 존재한다. 잊지말고, 해당 강좌는 유튜브로 공부하길 바란다.) https://www...
오늘은 처음 들으면 굉장히 헷갈리는 Deep Learning과 Machine Learning에 대해 알아보자. 학부 3학년쯤부터 Deep Learning이라는 것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 당시, Deep Learning과 Machine Learning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많이 봤고, 그렇기에 나 역시 동일한 말로 인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학원에 들어오고 나서야 이걸 제대로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알아본 Deep Learning? Machine Learning?이다. 가장 먼저 당연히 알고 있던 사실은 AI 분야 둘 다 속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Deep Learning과 Machine Learning의 하위 관계이다. 먼저 알고 있던 것은 Deep Learing이 Machine ..
안녕하세요, LazyHand입니다. 누군가 이 글을 찾아서 볼까? 싶지만, 보시는 분들에게 짤막한 소개는 있으면 좋을 것 같아 씁니다.학부 때부터 CS전공자라면 Git을 관리해야 한다, 알고리즘이 중요하다,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야 한다 등등 많은 이야기를 들었습니다.그렇지만, 알다시피 사람은 본인이 깨닫고 절실히 필요하지 않다면 흘려듣기 마련이죠.저 역시 그랬습니다. 그렇게 코딩을 좋아하는 사람도 아니었던지라, 코딩 테스트를 못 본척하며얼레벌레 열심히 살다 보니 졸업 후 이것저것 하다 회사에 들어갔고 정신 차려보니 지금은 대학원에 와 있습니다.대학원이라면 아직 부족한 배움을 천천히 채울 수 있겠지 했으나, 아니었습니다.그 역시, 제 스스로 움직여야 하는 부분이었습니다. 주어진 과제와 적응에만 신경 쓰며 대..